카테고리 없음

겨울철 자동차 히터 문제 해결하기

원희리 2020. 10. 7. 23:28

안녕하세요! 오늘은 겨울철 자동차 히터 문제 해결법을 알아보겠습니다!

겨울철 자동차 히터 문제 해결하기

겨울철 자동차 히터 문제 해결하기

이제 날씨가 선선해지고 곧 겨울도 얼마 남지 않았습니다. 많은 분들이 겨울철이 되면 밖을 걷는 방법보다는 차로 이동을 많이 하는데 춥지 않게 차 안에서 히터를 켜고 갈 수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차를 타고 히터를 켰는데 따뜻한 바람이 나오지 않거나 히터에서 이상한 냄새가 나면 곤란해집니다. 그래서 오늘은 겨울에 자동차 히터가 문제가 되었을 때 해결 방법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졌으면 좋겠습니다.

 

겨울철 자동차 히터 문제는?

1. 차의 히터를 켜도 따뜻한 바람이 나오지 않는 경우

이 문제는 예열이 제대로 되지 않은 상태에서 발생합니다. 히터의 작동은 엔진으로 냉각수의 온도가 올라가고 그 열로 차내의 히터가 작동하게 됩니다. 만약 10분 이상 틀어도 히터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다면 냉각수의 양이 부족하거나 서모스탯 부분의 고장을 생각해 봐야 합니다.

2. 히터에서 냄새가 나는 경우

히터가 작동한 후 냄새가 나는 경우 필터의 문제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필터는 대개 반년마다 교체하는 것이 좋지만, 자동차 부품 중에서 가장 교환하기 쉬우므로 직접 차에 맞는 필터를 구입해서 교체하는 것도 좋습니다.

3. 히터 작동 시 유리창에 습기가 차는 경우

자동차 유리에 습기가 차는 이유는 안과 밖의 온도 차이가 있기 때문입니다. 이 경우 차량 운전자의 전방 시야를 방해할 수 있는데, 이때는 열선을 작동시키거나 창문을 조금만 열어두면 습기가 쉽게 없어집니다. 창문이 잘 열리지 않는 경우라면, 외부 공기 유입 버튼을 움직이면 됩니다.

4. 자동차 히터에서 수증기가 발생하는 경우

히터를 작동시켰더니 갑자기 수증기가 나오는 경우가 있는데, 이것은 차내의 습도가 높아 나오는 것입니다. 큰 문제는 아니지만, 지속적으로 수증기가 발생하고 있다면 가까운 정비소에서 정비를 하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자동차 히터와 연비의 관계

때때로 오해를 받는 분들이 많지만 히터를 켠다고 해서 연비가 줄어들지는 않습니다. 온도를 많이 올리거나 바람의 강도를 높여도 12시간에 600원 정도입니다. 하지만 자신의 차가 휘발유를 사용하는 차 이외의 하이브리드 자동차나 전기 자동차의 경우는 전기를 충전하여 엔진을 작동시키기 때문에 하이브리드 차량의 경우는 주의하는 것이 좋습니다.

히터는 밖의 추운 온도로부터 우리를 지켜주지만, 히터를 장시간 켠 채 운행하면 졸음운전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장시간 운전을 해야 한다면 30~40분 주기로 창문을 열어 환기를 시키고 안전한 운행을 합니다.

이상으로 겨울철 자동차 히터 문제 해결법을 알아보았습니다!